교황 식스토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스토 4세는 1471년부터 1484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프란치스코회에서 교육받고 파비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으며, 프란치스코회 총장과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선포하고 동방 정교회와의 통합을 시도했지만, 족벌주의를 통해 친족을 요직에 등용하고, 스페인 종교재판을 승인하는 등 논란을 겪었다. 또한, 로마의 도시 정비 사업과 예술, 학문 진흥에 기여하여 시스티나 경당 건설, 바티칸 도서관 확장 등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식스토 4세 - 카피톨리나 늑대상
카피톨리나 늑대상은 늑대가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를 젖 먹이는 모습을 묘사한 청동 조각상으로, 로마의 상징이며, 11~12세기에 제작되었고, 무솔리니에 의해 복제되어 여러 곳에서 사용되었다. - 교황 식스토 4세 - 다빈치의 악마들
다빈치의 악마들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초기 삶을 다룬 시대극으로, 15세기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예술, 과학, 정치적 음모, 종교적 갈등을 그리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스코투스주의 - 주의주의
주의주의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의지를 중요시하는 사상적 경향으로, 철학에서는 의지를 존재의 본질로, 심리학에서는 심적 생활의 근본 기능으로, 윤리학에서는 윤리적 과제의 중심으로, 신학에서는 종교 활동의 근원으로 간주한다. - 스코투스주의 - 존재론적 신학
존재론적 신학은 하이데거 철학의 영향을 받아 인간 존재 이해를 통해 신의 의미를 탐구하는 신학 분야로, 칸트의 비판 이후 현대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며 종교적 경험, 윤리,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프란치스코회 출신 교황 - 교황 식스토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프란치스코회 출신으로 1585년부터 1590년까지 재임하며 교황령 치안 확보, 재정 개혁, 로마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고대 유물 훼손, 강압적 재정 정책 등의 논란도 있는 제227대 교황이다. - 프란치스코회 출신 교황 - 교황 니콜라오 4세
교황 니콜라오 4세는 1288년부터 1292년까지 재임한 191대 교황으로, 프란치스코회 수사 출신으로 외교적 역할 수행, 교황령 안정, 시칠리아 왕위 계승 문제 개입, 십자군 원정 장려, 선교사 파견 등 기독교 세계 확장에 힘썼다.
교황 식스토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식스토 4세 |
본명 | 이탈리아어: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 |
출생일 | 1414년 7월 21일 |
출생지 | 제노바 공화국, 첼레 리구레 |
사망일 | 1484년 8월 12일 |
사망지 | 교황령, 로마 |
![]() | |
교회 경력 | |
교황 즉위 | 1471년 8월 9일 |
교황 임기 종료 | 1484년 8월 12일 |
이전 교황 | 바오로 2세 |
다음 교황 | 인노첸시오 8세 |
서품 | 알 수 없음 |
서품자 | 알 수 없음 |
주교 서임일 | 1471년 8월 25일 |
주교 서임자 | 기욤 데투트빌 |
추기경 임명일 | 1467년 9월 18일 in pectore (1467년 9월 19일 공개) |
추기경 임명자 | 바오로 2세 |
이전 직책 | 프란치스코회 수도회 총장 (1464–1469)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의 추기경 (1467–1471) |
문장 | |
![]() | |
추가 정보 | |
스타일 | 경칭: 성하 존칭: 성하 호칭: 성부 사후: 없음 |
주교 서임 정보 | |
주교 1 | 피에르 엥겔페르트 |
주교 서임일 1 | 1477년 3월 25일 |
주교 2 | 게오르크 헤슬러 |
주교 서임일 2 | 1480년 2월 13일 |
주교 3 |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
주교 서임일 3 | 1481년 |
주교 4 | 마티아스 샤이트 |
주교 서임일 4 | 1481년 12월 31일 |
2. 생애 초기
프란치스코회 소속 수도자였던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는 1414년 이탈리아 리구리아주 첼레리구레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3] 그는 사보나에 있는 프란치스코회에 입회하여 교육을 받았다.[36] 볼로냐와 파도바 등 여러 이탈리아 대학에서 강의하며 명성을 쌓았다.[36]
1471년 교황 바오로 2세가 사망한 후,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은 54일 만에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 추기경을 새 교황으로 선출하였다.[38] 그는 식스토 4세라는 이름을 선택하였다. 그의 경건한 평판이 교황 선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38] 밀라노 공작에게 선물 공세를 한 것도 영향을 주었다는 비판이 있다.[36]
1471년 교황 선거를 통해 선출된 델라 로베레는 5세기 이후 사용되지 않던 식스투스라는 이름을 채택하여 교황이 되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스미르나에서 십자군을 선포했으나, 스미르나 정복 후 함대는 해산되었다.[7] 동방 정교회와의 통합을 위한 시도도 있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464년, 50세의 나이로 프란체스코회 총장으로 선출되었고,[36] 1467년에는 교황 바오로 2세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어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을 명의 본당으로 하사받았다.[36]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 델라 로베레 추기경은 《그리스도의 피》, 《하느님의 힘》 등의 논문을 집필하는 등 세속적이지 않은 인물로 명망이 높았다.[37]
3. 교황 선출
4. 교황 재위 기간
식스토 4세는 세속적인 문제와 왕조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프랑스 왕국의 루이 11세와는 보르주 국사조칙 문제로 갈등을 겪었는데, 이 조칙은 이후 갈리카니즘의 원천이 되었다. 또한 프랑스 왕이 나폴리 왕국의 계승권에 관여하는 것도 교황에게는 중요한 문제였다.
식스토 4세는 족벌주의 정책을 펼쳤다. 멜로초 다 포를리의 프레스코화에는 교황 옆에 친족인 델라 로베레 가문과 리아리오 가문의 인물들이 그려져 있다. 라파엘레 리아리오,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훗날 교황 율리오 2세), 지롤라모 리아리오, 조반니 델라 로베레 등이 교황의 발탁을 받았다.
1478년 라파엘레 리아리오 추기경은 파치 가문의 음모에 가담하여 메디치 가문 타도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 사건으로 교황청과 피렌체는 2년간 전쟁 상태에 돌입했다. 동시에 식스토 4세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페라라 공국 공격을 부추겼으나, 이탈리아 도시 군주들의 반발로 1483년 베네치아를 금지령 아래에 두었다.
식스토 4세는 아라곤 왕국 페르난도 2세의 요청에 따라 스페인 종교재판을 허가했으나, 스페인 종교재판소의 과격한 처벌을 문제 삼았다.
교회 역사에서 식스토 4세는 12월 8일 성모 마리아 원죄 없는 잉태 축일을 제정하고, 1478년 콘스탄츠 공의회의 개혁적인 교령을 공식적으로 철회했다.
정치적으로는 실정이 많았지만, 식스토 4세는 로마의 발전과 미술·학문의 진흥에 기여했다. 시스티나 성당, 폰테 시스토 건설, 로마 시가지 미화·보수, 바티칸 도서관 확장 등을 추진했다. 레기오몬타누스에게 율리우스력 검토를 맡기고, 조스캥 데 프레를 로마로 초청했다. 산드로 보티첼리, 핀투리키오, 도메니코 기를란다이오 등을 후원했다.
식스토 4세 사후 추기경단은 콘클라베를 열어 후계자를 선출했다. 당시 추기경단은 32명으로, 로베레 가문의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등이 있었지만,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교황 인노첸시오 8세)가 선출되었다.
4. 1. 주요 정책
식스토 4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새로운 십자군을 선포했지만, 스미르나 정복 후 함대가 해산되면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7] 동방 정교회와의 통합을 위한 노력도 별다른 소득이 없었다.
프랑스 국왕 루이 11세는 교황령이 프랑스에서 공포되려면 왕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보르주 국사조칙(1438년)을 옹호했기 때문에, 식스토 4세는 루이 11세와 갈등을 빚었다.[4]
1478년 11월 1일, 식스토 4세는 교황 칙서 《신실한 신앙심에서 우러나온 청원에 대하여》(Exigit Sinceras Devotionis Affectus)를 포고하여, 카스티야 왕국이 이단 심문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승인하였다. 그러나 이는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의 정치적 압력에 의한 것이었다.[44] 그럼에도 식스토 4세는 스페인 종교재판의 과도한 권력 남용을 비판하고 단죄하였다.[44]
식스토 4세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페라라 공작 에르콜레 1세 데스테를 침공하게끔 부추겨 1482년 페라라 전쟁이 발발하였다. 교황령과 베네치아 공화국이 합동으로 페라라 공국을 공격하자, 밀라노 공국, 피렌체 공화국, 나폴리 왕국이 동맹을 맺고 이에 맞섰다. 결국 이탈리아 군주들의 압력으로 식스토 4세는 평화를 맺어야 했다.[4] 그는 1483년 베네치아령 전역에 성무 정지 조치를 내렸다.[4]
교회 문제에 있어서, 식스토 4세는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신심을 장려하고, 12월 8일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마리아 축일로 선포하였다. 또한 1478년 소집된 콘스탄츠 공의회의 교령들을 공식적으로 무효화하였다.[20]
4. 2. 족벌주의와 정치적 논란
식스토 4세는 다른 교황들과 마찬가지로 친인척을 요직에 등용하는 족벌주의 정책을 펼쳤다. 멜로초 다 포를리가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를 바티칸 도서관장에 임명하는 모습을 묘사한 프레스코화에는 그의 조카들도 같이 그려져 있다.[25] 그림에서 교황 앞에 무릎을 꿇은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의 왼쪽에 서 있는 두 인물 가운데 왼쪽은 조반니 델라 로베레이며, 오른쪽은 지롤라모 리아리오이다. 플라티나의 오른쪽에 서 있는 인물은 추기경으로 서임된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훗날 교황 율리오 2세)이다.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앞에 서 있는 인물은 사도좌 서기관에 임명된 라파엘레 리아리오이다.[25]
프레스코화에 묘사되지 않은 교황의 또 다른 조카인 피에트로 리아리오 역시 삼촌인 교황으로부터 많은 특혜를 받았다. 피에트로는 교황의 대외 정책을 담당했으며, 로마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 하지만 피에트로는 1474년에 일찍 사망했고, 이후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가 그의 역할을 대신 맡게 되었다.[9]
델라 로베레 가문의 세속적 번영은 식스토 4세가 그의 조카 조반니 델라 로베레를 세니갈리아의 통치자로 임명하면서 시작되었다. 또한, 식스토 4세는 조반니를 우르비노 공작 페데리코 3세 다 폰테펠트로의 딸과 정략 결혼시켰다. 이후 1631년까지 우르비노 공작은 델라 로베레 가문이 독점하였다.[42] 식스토 4세는 재위 기간 동안 총 34명의 추기경을 서임했는데, 그 가운데 6명이 그의 조카였다.[43] 그는 여덟 차례의 추기경 서임식을 통해 34명의 추기경을 서임했는데, 그중에는 조카 3명, 조카의 아들 1명, 그리고 다른 친척 1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그와 그의 후계자들이 이 시기에 계속해서 저질렀던 족벌주의 관행을 보여주는 사례이다.[14]
1478년, 교황은 파치가의 음모사건을 간접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는 교황령 확장을 위해 피렌체의 통치 가문인 메디치 가문을 몰아내고 피렌체를 교황령에 포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기본적인 계획은 피렌체 공화국의 통치자인 로렌초와 그의 동생 줄리아노를 암살하고 반란을 일으켜 식스토 4세의 조카들인 지롤라모 리아리오와 프란체스코 살비아티 등으로 하여금 피렌체 공화국의 정권을 장악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주모자인 자신의 조카들이 군중에 의해 죽임을 당하자 식스토 4세는 피렌체 전체를 파문하고 2년간 전쟁을 벌였다.[16] 또한 그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페라라를 공격하게끔 충동질하였다. 이에 분노한 이탈리아의 여러 군주가 서로 제휴하여 평화를 깨뜨리지 말 것을 요구하자, 식스토 4세는 크게 골머리를 앓았다.[4]
4. 3. 스페인 종교재판 지원
1478년 11월 1일, 식스토 4세는 교황령 《진실된 헌신의 애정을 요구함》(Exigit Sincerae Devotionis Affectus)을 통해 카스티야 왕국에 스페인 종교재판을 설립했다.[4]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2세(페르디난트 2세)는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군사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위협하며 식스토 4세를 압박했고, 결국 식스토 4세는 이에 굴복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스토 4세는 종교재판의 관할권에 대한 의례와 특권을 놓고 다투었으며, 1482년에는 종교재판의 과도한 행위를 비난했다.[4]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의 진보 진영은 종교재판이 종교적 신념을 억압하고 정치적 반대파를 탄압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고 비판한다.
4. 4. 노예 제도 관련
교황 니콜라오 5세는 1452년과 1455년에 각각 《다를 때까지》(Dum Diversas)와 《로마 교황》(Romanus Pontifex)이라는 교황 칙서를 반포하여 포르투갈이 아프리카 해안에서 노예를 획득할 권리를 부여했다. 이러한 권리는 1481년 6월 21일 교황 식스토 4세가 반포한 칙서 《Aeterni regi》에서 재확인되었다.[45] 식스토 4세는 이 칙서에서 정복 활동이 기독교도들의 무역량과 개종자 수를 늘리기 위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밝혔다.[45]
1476년 식스토 4세는 《Regimini Gregis》 칙서를 통해 기독교인을 노예로 삼는 선장과 해적을 파문한다고 발표함과 동시에, 카나리아 제도와 기니 원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개종한 원주민과 그렇지 않은 원주민 간의 사회적 지위에 차이를 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46] 이에 따라 교회는 개종에 저항하는 원주민들을 노예로 만드는 형벌을 내렸다.[47]
4. 5. 예술과 학문의 후원
식스토 4세는 예술뿐만 아니라 과학도 후원했다.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 그는 당시 매우 진보적이고 국제적인 관점을 가졌던 파도바 대학교에서 공부했다.[27][28] 파도바 대학교는 교회로부터 상당한 독립성을 보장받았으며, 국제적인 특성을 갖고 있었다. 교황이 된 후에는 칙서를 반포하여 지역 교구장 주교들이 처형당한 범죄자들과 신원 미상의 시체들을 의사 및 예술가들에게 해부용으로 제공할 것을 지시했다. 식스토 4세의 이러한 지지에 힘입어 해부학자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티치아노의 제자인 얀 스테판 반 칼카르와 더불어 의학 발전에 새로운 장을 연 획기적인 해부학 교재인 《인체의 구조에 관하여》를 발간할 수 있었다.
식스토 4세는 바티칸 도서관의 규모를 확충하고 도서 목록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그는 레기오몬타누스를 로마로 불러 율리우스력 수정에 필요한 자문을 구했으며,[26] 가스파르 반 베르베케, 마르브리아누스 데 오르토, 베르트란두스 등 북유럽 출신의 가수 및 유명 작곡가들을 로마로 초빙하여 교황 성가대의 규모와 위상을 높였다.
1477년, 식스토 4세는 웁살라 대학교 설립을 승인하는 교황령을 발표했다. 웁살라 대학교는 스웨덴과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대학교였다. 웁살라가 대학교 설립 장소로 선택된 것은 9세기에 기독교가 이 지역에 처음 전파된 이후로 웁살라 대주교구가 스웨덴 본토에서 가장 중요한 주교좌 중 하나였고, 오랫동안 지역 무역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대학교에 법인격을 부여한 웁살라의 교황령은 여러 조항을 규정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교가 공식적으로 볼로냐 대학교와 동일한 자유와 특권을 부여받았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신학, 법학(교회법과 로마법), 의학, 철학의 4개 학부를 설립하고 학사, 석사, 면허, 박사 학위를 수여할 권리가 포함되었다. 또한 웁살라 대주교는 대학교의 총장으로 임명되어 대학교와 구성원의 권리와 특권을 유지할 책임을 맡았다.[29] 식스토 4세의 이러한 행위는 스웨덴 사회와 문화에 오랫동안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로마 시민들의 후원자로서, 교황 반대파 역사가인 스테파노 인푸사(Stefano Infessura)조차 식스토 4세는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인정했다. 바티칸 궁전에 있는 멜로초 다 포를리의 프레스코화에 새겨진 헌정 비문에는 "당신은 도시에 사원, 거리, 광장, 요새, 다리를 선물했고, 트레비까지 아쿠아 베르지네를 복구했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식스토 4세는 시스티나 성당을 건설하고, 폰테 시스토(시스티나 다리)와 산탄젤로 성에서 성 베드로 광장으로 이어지는 비아 시스티나(후에 '보르고 산탄젤로'로 개명) 건설도 후원하였다.
5. 사망
1484년 6월 중순 식스토 4세는 열병에 걸렸고, 그해 8월에는 통풍으로 8월 12일에 선종하였다.[30] 식스토 4세의 무덤은 1527년 로마 약탈 때 파괴되었다. 오늘날 그의 유해는 조카인 교황 율리오 2세와 더불어 성 베드로 대성전 내부 교황 클레멘스 10세 기념비 앞바닥에 매장되어 있으며, 그의 이름을 새긴 대리석 묘비가 그 자리를 표시하고 있다.
안토니오 폴라이우올로가 식스토 4세를 기리기 위해 제작한 청동 조형 무덤은 성 베드로 대성전의 지하 금고에 보관되어 있다. 무덤의 맨 위에는 교황이 누워 잠들어있는 것 같은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그리고 잠들어 있는 교황의 주위를 문법, 수사법, 산수, 기하학, 음악, 미술, 천문학, 철학, 신학을 상징하는 여인들이 둘러싼 형태로 부조되어 있는데, 각 여인 부조상은 식스토 4세의 문장에 들어간 오크나무(이탈리아어로 로베레)를 손에 들고 있다. 식스토 4세의 청동 무덤은 그 자체의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복잡한 기호학과 고전적인 글귀 그리고 미술적 배치 구도에 있어서 르네상스 시대의 걸작품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6. 평가
식스토 4세는 르네상스 시대 교황으로서 예술과 학문을 후원하고 로마를 발전시킨 업적을 남겼지만, 동시에 족벌주의와 정치적 부패, 스페인 종교재판 지원 등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정책을 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38]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그의 족벌주의와 스페인 종교재판 지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강하다.
그는 교황에 선출된 직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조직하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동방 정교회와의 일치 노력도 실패했다.[40][41] 이후 그는 세속 문제에 집중하며, 보르주 국사조칙 문제로 프랑스 루이 11세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식스토 4세는 다른 교황들과 마찬가지로 족벌주의 정책을 펼쳐, 자신의 친인척들을 요직에 등용했다.[43] 멜로초 다 포를리가 그린 바르톨로메오 플라티나를 바티칸 도서관장에 임명하는 식스토 4세의 프레스코화에는 그의 조카들인 조반니 델라 로베레, 지롤라모 리아리오,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훗날의 교황 율리오 2세), 라파엘레 리아리오 등이 등장한다.[25] 그는 조카 피에트로 리아리오에게 많은 특혜를 주었으며, 피에트로 사후에는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가 그의 역할을 대신했다. 델라 로베레 가문은 식스토 4세의 지원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우르비노 공작 가문을 독점하기도 했다.[42]
그는 교황령 확장을 위해 파치 음모를 지원하고, 베네치아 공화국에게 페라라를 공격하게 하는 등 이탈리아 내에서 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군주들의 반발로 인해 그는 베네치아에 성무 정지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4]
식스토 4세는 스페인 종교재판을 승인하였으나, 이후 종교재판의 과도한 권력 남용을 비판하고 단죄하였다.[44] 그는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신심을 장려하고 12월 8일을 축일로 선포했으며, 콘스탄츠 공의회의 교령들을 무효화했다.
식스토 4세는 시스티나 경당 건설, 시스토 다리 건설, 로마 시내 도로 정비 등 로마의 도시 환경 개선에 힘썼다. 바티칸 도서관을 확장하고, 율리우스력 수정을 위해 레기오몬타누스를 초빙하는 등 학문 발전에도 기여했다. 또한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연구를 지원하여 의학 발전에도 공헌했다.
식스토 4세의 정책에 대한 비판도 있다. 이탈리아 역사가 스테파노 인페수라는 식스토 4세를 "소년 애호가이자 소돔죄자"라고 비난하며, 그가 성적 호의에 대한 대가로 성직을 수여했다고 주장했다.[11] 그러나 인페수라는 콜론나 가문에 편향된 인물이었기에 그의 주장은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17] 개신교 논쟁가 존 베일은 식스토 4세가 "산타 루치아 추기경"에게 "따뜻한 날씨에는 소돔을 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고 주장했으나, 가톨릭 역사가 루트비히 폰 파스토르는 이를 반박했다.[18][19]
참조
[1]
서적
Inventing the Council inside the Apostolic Library: The Organization of Curial Erudition in Late Cinquecento Rome
De Gruyter Saur
2021
[2]
서적
April Blood: Florence and the Plot Against the Medici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
웹사이트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2.fiu.edu/[...]
2014-07-29
[4]
웹사이트
Pope Sixtus IV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
1912
[5]
서적
April Blood
[6]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s SanFrancisco
1997
[7]
웹사이트
Sisto IV (1414–1484)
https://web.archive.[...]
2014-08-10
[8]
문서
His most scandalous expenditures
[9]
문서
His role passed to Giuliano Della Rovere
[10]
논문
Lysippus und seine Freunde
http://dx.doi.org/10[...]
Akademie Verlag
2023-01-14
[11]
서적
Diario Della città di Roma (1303–1494)
Ist. St. Italiano, Tip. Forzani
1890
[12]
논문
Lysippus und seine Freunde
http://dx.doi.org/10[...]
Akademie Verlag
2023-01-14
[13]
문서
On his premature death (1501), Giovanni entrusted his son Francesco Maria to Federico's successor Guidobaldo
[14]
서적
Lives of the Popes
[15]
웹사이트
Palazzo della Cancelleria
https://turismoroma.[...]
2023-05-09
[16]
웹사이트
Sixtus IV pop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09
[17]
서적
Sixtus IV and Men of Letters
1978
[18]
서적
Analecta in labrum Nicolai de Clemangiis, De Corrupto Ecclesiae state
Elzevirius & Laurentius
1593
[19]
서적
History of the Popes
Desclée
1911
[20]
백과사전
Sixtus IV
https://www.britanni[...]
2023-08-08
[21]
문서
Raiswell, p. 469; see also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p. 281
[22]
문서
Traboulay 1994, pp. 78–79.
[23]
문서
Sued-Badillo (2007), see also O'Callaghan, pp. 287–310
[24]
서적
Slavery and the Catholic Church
Barry Rose Publishers
1975
[25]
뉴스
When Sixtus IV Needed a Painter
https://www.nytimes.[...]
2011-05-10
[26]
백과사전
Johann Müller (Regiomontanus)
1913
[27]
웹사이트
Pope Sixtus IV
https://www.oxfordbi[...]
2022-06-27
[28]
웹사이트
Pope Sixtus IV
https://www.catholic[...]
2024-07-13
[29]
서적
A History of Uppsala University: 1477–1977
Almqvist & Wiksell International
1976
[30]
웹사이트
Sede Vacante 1484
http://www.csun.edu/[...]
2019-01-22
[31]
간행물
The Triple Crown
1935-03
[32]
잡지
Daniel Sharman and Bradley James Join Netflix's 'Medici'
https://variety.com/[...]
2017-08-11
[33]
웹사이트
TV Review: 'Da Vinci's Demons'
https://variety.com/[...]
2024-05-14
[34]
백과사전
Sixtus IV pope
https://www.britanni[...]
[35]
서적
April Blood: Florence and the Plot Against the Medici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6]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37]
서적
April Blood
[38]
서적
Lives of the Popes
HarpersSanFrancisco
1997
[39]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40]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014-01
[41]
서적
서양 문명의 역사 2
소나무
1996-04-05
[42]
문서
On his premature death (1501), Giovanni entrusted his son Francesco Maria to Federico's successor Guidobaldo (Duke of Urbino 1482–1508) who, without an heir, devised the duchy on the boy.
[43]
서적
Lives of the Popes
[44]
백과사전
Sixtus IV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45]
서적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46]
서적
2007
[47]
서적
Slavery and the Catholic Church
Barry Rose Publishers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